안녕하세요.
Made Bees. 시녀비입니다.
오늘은 오랜만에 노트북을 켜서 블로그를 작성해보려 합니다.
오랜만에 노트북을 사용하니 생각보다 빠르게 떨어지는 배터리 잔량을 보고 저의 노트북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며 그 방법을 여러분들께 공유하고자 합니다.
저는 윈도우 OS를 사용하므로 이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.
1. powercfg.exe -energy 명령어를 이용한 배터리 수명 확인.
1.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켜 줍니다.

2. 명령어 창에 powercfg.exe -energy 를 타이핑한 후 엔터를 누릅니다.
(주의 사항으로 exe 뒤 띄어쓰기가 있습니다.)

3. 배터리를 추적하는 60초를 기다립니다.
4. 배터리 사용에 있어 문제가 되는 부분을 간략하게 알려줍니다.

5. 더욱 자세한 결과를 알고자 하면 C:\WINDOWS\system32\energy-report.html 부분을 드래그하신 후 인터넷 주소창에
붙여 넣기를 하면 상세 결과 및 자신의 설정에 문제가 어떤 것인지 알려줍니다.
2. powercfg/batteryreport 를 명령어를 이용한 배터리 수명 확인 법
저는 앞서 설명드린 1번 명령어보다 이 명령어를 더 추천드리는데요. 배터리의 수명은 그 배터리의 총량 중 현재 사용되는 배터리 양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. 이 명령어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.
1. 마찬가지로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킵니다.

2. 명령어 창에 powercfg/batteryreport 를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.

3. 결과로 나온 경로로 들어가 해당 파일을 열어줍니다.



마지막 결과 창의 정보 중 확인해야 할 것은 DESIGN CAPACITY 와 FULL CHARGE CAPACITY 입니다.
DESIGN CAPACITY : 처음 설계된 배터리의 양
FULL CHARGE CAPACITY : 현재 완전히 충전되는 배터리의 양
FULL CHARGE CAPACITY / DESIGN CAPACITY * 100을 하면 배터리 효율이 나오는데요.
저 같은 경우 35,000 / 34,140 * 100 = 97.5428...으로 약 97 퍼로 나옵니다. (거의 새것..이네요..?)
통상 약 1000번 정도 충전 사이클이 돌았을 때 배터리 효율이 80 퍼 정도 나온다고 합니다.
노트북 배터리가 유독 빨리 닳다는 느낌이 들거나
현재 배터리 효율성이 어느 정도인지 알고 싶을 때
여러분들도 한 번 해보세요~!
이상 포스팅을 마치며.
좋아요. 댓글. 서이추는 사랑입니다.
'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맥북에서 구글드라이브 이용하는 법 (0) | 2023.01.05 |
---|---|
[같이 공부하는] "조명 기법" : 3점 조명 (1) | 2022.12.28 |
[같이 공부하는] "촬영 기법" : 1. Static shot (0) | 2022.12.26 |
빔 프로젝터 구매 요령(가성비 빔 프로젝터 선택 기준) (2) | 2022.12.25 |
구글 드라이브 구독 취소,해지 하는 법 (0) | 2022.12.20 |
댓글